Last active
August 29, 2015 14:01
-
-
Save lqez/560b2998c2afcb5ef2df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This file contains hidden or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10:35 You have joined the channel | |
10:35 lqez has joined ([email protected]) | |
10:36 aronze has joined (01de1216@web/1.222.18.22) | |
10:36 aronze: 계세요? | |
10:38 lqez: aronze: 안녕하세요 ㅎㅎ | |
10:39 aronze: 핫 네네 안녕하세요. 다른 분들도 들어오시면 좋은데 들어오기 힘드신가바여 | |
10:39 aronze: 방가워요^^ lqez 님 | |
10:39 ohyecloudy has joined (dda32704@web/221.163.39.4) | |
10:39 lqez: 안녕하세요- | |
10:39 ohyecloudy: 안녕하세요 | |
10:39 aronze: 안녕하세요~ | |
10:39 ohyecloudy: 비동기 대화만 하다가 | |
10:39 ohyecloudy: 이렇게 대화하니 | |
10:40 ohyecloudy: 어색하네요.. 크 | |
10:40 lqez: 흐흐 처음(?) 뵙겠습니다 | |
10:40 aronze: >_< | |
10:40 lqez: 한국어 SO에 반반무마니의 감정을 갖고 있는 lqez 입니다 ;(_ _) | |
10:41 lqez: 한국사람에 의해 운영되는 | |
10:41 aronze: Area51 한국어 제안한 aronze 입니다. 너무 아쉽습니다. ㅠㅠ | |
10:41 lqez: 다른 한국어 질답 사이트들을 둘러보고 | |
10:41 lqez: 몇 군데서는 활동도 해보았는데요, | |
10:41 lqez: (1) 이렇게 활동을 했는데 이 사이트가 언제 사라질지 모르겠다 ( 이콜레모에서 운영했던 QA 사이트에서 느낀 감정 ) | |
10:42 lqez: (2) 질답으로 인한 reputation 획득과 같은 재미가 없다 ( database.sarang.net 에서 느낀 점 ) | |
10:42 lqez: (3) 모수가 적다보니 답변 하는 사람들만 답변하는 것 같다 ( 모든 사이트 ) | |
10:42 lqez: 이런 부분 때문에 한국어 전용 사이트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생겼습니다. | |
10:42 ohyecloudy: 1,3 은 저도 동감합니다. | |
10:42 lqez: 하지만, 영어가 친숙하지 않은 좋은 개발자들도 있음은 인지하구요, | |
10:42 aronze: 1. gpgstudy 때도 그래서 그런지 이 부분에 대해 불안하면 정말 최악인 것 같습니다. 외국은 계속 리소스가 쌓이는 느낌인데 우리는 커뮤니티가 수명을 다 할때마다 문화재가 날라가는 느낌이에요 | |
10:42 lqez: 이런 분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 |
10:43 aronze: 저도 동감합니다. | |
10:43 ohyecloudy: 네. | |
10:43 lqez: 일단 오늘 대화는 제가 IRC 클라이언트 레벨에서 로깅해서 | |
10:43 lqez: 구글 드라이브 등을 통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
10:44 lqez: 급하게 채널을 열다보니 봇이나 로거가 없네요; | |
10:44 ohyecloudy: 신기하게도 한국어 so 생겼으면 하는 분들이 사실 그냥 so 에서도 충분히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실 수 있는 분들이에요. | |
10:44 aronze: 넵. 감사합니다. 결국 StackOveflow 급의 사이트를 만들고 운영하거나 심지어 똑같은 걸 만들어도 SO 만큼 운영과 참여가 가능할까하는 의문이 있습니다. | |
10:44 aronze: 그래서 차라리 SO 에 둥지를 틀자는데 까지 생각이 미쳤고요. | |
10:44 lqez: 동의합니다 +1 | |
10:45 토성구름 has joined ([email protected]) | |
10:45 ohyecloudy: 안녕하세요. | |
10:45 aronze: 그렇죠. 사실 SO 그냥 영어로 쓰면 됩니다. Pool 면에서도 그게 더 고급 정보도 많고 유리하죠. 굳이 한글 사이트를 만들겠다는건 한국인이 한국어로 말할 곳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겠죠. | |
10:45 aronze: 안녕하세요~ | |
10:46 ohyecloudy: @토성구름 https://gist.github.com/ohyecloudy/3685ab339728412a915a 이전 대화 | |
10:46 ohyecloudy: 임시로 간단히 C-c C-v | |
10:46 ohyecloudy: 했습니다. | |
10:46 ohyecloudy: 네. 여기 방에 계신분들은 다 동의하시는 것 같습니다. | |
10:46 토성구름: 안녕하세요 | |
10:47 ohyecloudy: 첫번째 허들을 어떻게 넘을지가 관건인 거 같네요. | |
10:47 ohyecloudy: 제약 사항은 일인당 질문 5개 | |
10:47 aronze: 우리나라는 개발 쪽에 고급과 초급이 너무 확연히 갈리는 이상한 구조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SO 가 그 예인데요, SO 를 쓰니냐 쓰지 못하느냐에 따라 실력이 갈리고 그러다 보니 국내 작은 커뮤니티는 초보들만 남아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
10:47 ohyecloudy: 네, 특히 폐쇄된 네이버 카페 질답에서 많이 느껴요. | |
10:47 aronze: 네, 사실 definition 단계는 팔로 수로 봤을 때 쉽게 넘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참여도가 생각했던 것 보다 상당히 부족했어요. | |
10:48 ohyecloudy: 질문은 5개가 제약이지만 | |
10:48 ohyecloudy: 댓글은 제약이 없지 않나요? | |
10:48 aronze: 넹, 댓글은 제약 없습니다. | |
10:48 ohyecloudy: 댓글에 제약이 없으면 임시 Q&A | |
10:48 aronze: 그리고 추천은 제약 있습니다. | |
10:48 ohyecloudy: 게시판으로 괜찮게 쓸 수 있어요. | |
10:48 ohyecloudy: 질문으로 "대신 질문해주세요" | |
10:48 ohyecloudy: 를 만들고요 | |
10:48 ohyecloudy: 5개 다 쓴 사람은 | |
10:48 ohyecloudy: 거기 댓글로 다는거에요 | |
10:49 ohyecloudy: 개수 남으신 분이 대신 질문을 올리는거죠 | |
10:50 aronze: 괜찮은 아이디어긴 한데, 다른 사람들이 이렇게 협조를 해줄 수 있을까요? | |
10:51 ohyecloudy: 말씀하신 협조는 확신이 안 섭니다. | |
10:51 lexifdev has joined ([email protected]) | |
10:51 ohyecloudy: 다만 질문 5개 제약은 넘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걸 말하고 싶었어요 | |
10:51 aronze: 넹, definition 단계를 빠르게 넘아갈 방법은 없을까요? | |
10:52 ohyecloudy: @lexifdev 안녕하세요 https://gist.github.com/ohyecloudy/3685ab339728412a915a 이전 대화 | |
10:52 lexifdev: 네 안녕하세요 | |
10:52 aronze: 기존에도 팔로가 80 분이나 되셨는데, 추천만 해주셔도 definition 단계는 충분히 넘어갈 수 있는 카운팅인데 왜 definition 단계도 넘어가지 못한 걸까요? | |
10:53 ohyecloudy: 조건을 몰랐던 거 같아요 | |
10:53 ohyecloudy: 그래서 급하게 제가 질문 글에 조건을 자세히 적었는데 | |
10:53 ohyecloudy: 보신 분들이 적었던 것 같습니다 | |
10:53 aronze: 아.. 글 적어주신 분시셨군요. 그렇지 않아도 그 글 보고 아차 했습니다. ㅠㅠ | |
10:54 lexifdev: 음.. 로그를 보다 보니 http://ask.python.kr/questions/ 이런곳도 떠오르네요.. | |
10:54 lexifdev: 딱 이런 문제가.. | |
10:54 lexifdev: 모수가 제일 큰 문제겠죠 | |
10:54 aronze: 헐.. 읽기만 하고 아무도 참여를 안한다는 건가요? | |
10:54 aronze: ㅠㅠ | |
10:54 lexifdev: 사실 사용자로 모수는 충분한것 같은데 홍보의 문제인듯 싶기도 합니다 | |
10:55 lexifdev: 하루에 하나 올라오기도 힘든 곳에서 자료를 찾느니.. | |
10:56 aronze: 네, 다시 제안을 넣는다면 홍보 부분하고 조건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누구나 알기 쉽게 해야 겠어요. | |
10:56 lexifdev: 페북에 광고도 하고 자료도 좀 자작도 하고.. | |
10:56 lqez: (잠깐 자리를 비워서 로그 보는 중입니다) | |
10:56 lexifdev: 그런 소셜 햌잉이 중요해 보입니다.. | |
10:57 aronze: 그렇죠. 홍보 부분을 너무 간과했어요. 나름은 자발적인 니즈로 참여한 사람들에 의해서 커뮤니티가 적극성을 가져야 장기적으로 생명력 있는 사이트가 만들어 진다고 생각했는데 | |
10:57 aronze: 아까 트윗에서도 말씀해 주셨지만 바퀴가 돌기 위해 필요한 힘 정도는 필요하지 않았나 후회되네요 | |
10:58 ohyecloudy: 네. 괜찮은 경험인 거 같아요. | |
10:58 ohyecloudy: 다음에는 성공할 것 같습니다 | |
10:58 aronze: 홍보 부분에서 좀 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해요. 아는 친구들에게 이야기 할 수도 있지만 gpgstudy 류광님과 이야기 해서 gpgstudy 쪽에 공고를 낸다거나 다른 국대 거대 커뮤니티와도 접촉해서 어필해보는거죠 | |
10:59 lqez: 댓글에 보니까 1년안에 자동으로 닫힌 경우에는 언제든지 재시작 할 수 있다고 하는데, | |
10:59 Hybrid has joined (70afbb0c@web/112.175.187.12) | |
10:59 aronze: http://discuss.area51.stackexchange.com/questions/5798/closing-a-proposal-after-1-year-in-definition-or-commitment | |
10:59 aronze: 여기에 다시 여는거 나와있어요 | |
10:59 ohyecloudy: 네. 게임코디에도 얘기해 볼 만 합니다. http://www.gamecodi.com/ | |
10:59 lqez: 그나마 재시작할 때의 패널티 같은게 없어 보여서 다행입니다 / 네 | |
10:59 lqez: 그런데 게임코디, gpgstudy, androidpub 같은 곳에서는 | |
11:00 lqez: 사실 soink 에 반대의 입장을 보이지 않을까요? | |
11:00 ohyecloudy: @Hybrid https://gist.github.com/ohyecloudy/3685ab339728412a915a 여기 이전 로그에요 | |
11:00 lqez: 안드로이드 펍도 게임코디도 지금 들어가보니 | |
11:00 ohyecloudy: 네 말씀하신대로 반대 입장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얘기는 해 놓는거죠. 결정권을 그쪽에 맡겼으면 해요 | |
11:01 lqez: 배너 광고를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 |
11:01 Hybrid: @ohyecloudy 엇, 넵 감사합니다! | |
11:01 lqez: 어서오세요-! | |
11:01 ohyecloudy: 전 회의 | |
11:02 aronze: 접촉은 어떤식으로 진행이 가능할까요? 예를 들어, 베스트는 그냥 거기 수장을 개인적으로 알고 접근하면 쉬운데-_-; 커뮤니티에 공식 제안하는 식으로 접촉도 생각해 볼 수 있겠죠. 이 경우, 저희 공식 입장을 적은 공문 같은게 있으면 좋을 거 같아요. Area51 제안 절차 같은것도 포함해서요. | |
11:03 aronze: 배너 광고를 하려면 돈 내야 하는거 아닌가요 ㅠㅠ | |
11:04 lqez: aronze: 저도 자발적인 참여와 의지(tm)가 있는 분들이 | |
11:04 lqez: 적극적으로 (알아서) 참여하지 않으면 시동이 걸려도 소용이 없다는 입장이었는데 | |
11:04 lqez: 일단 시동은 걸고 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 |
11:04 lqez: 예를들면 말씀하신 것 처럼 추진위 같은걸 만들어서 | |
11:04 aronze: @lqez 네, 일딴은 그렇게 시도했던게 실패로 돌아갔으니까요 ㅠㅠ | |
11:04 lqez: 입장을 공식화 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그룹이 있어야 한다던가... | |
11:05 lqez: 저도 초기에 질문 몇 개를 던지고는 | |
11:05 lqez: 까먹고 있었던게 사실이라... | |
11:05 lqez: 아쉽네요. | |
11:06 lexifdev: 앱이라도 있으면 답 달리면 푸시라도 보내고 그럴텐데.. | |
11:07 aronze: 네, 공식적인 그룹을 만드는 것도 좋은 의견이라고 생각해요. 저 혼자 제안 넣고 트윗 한번 날린거는 너무 허술한 접근이었던 것 같아요. 정말로 국내 다수의 개발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려면 그룹을 만들어 이런 대화와 접근 방식/행위를 체계화 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해요 | |
11:07 lexifdev: SNS연동이라도 되면 메세지라도 막 보내고.. | |
11:07 lqez: lexifdev: stackexchange 앱이 이번에 나왔는데 | |
11:07 lqez: 뭔가 되려나요? | |
11:07 lexifdev: 앱이 있었군요 | |
11:08 lexifdev: 그럼 당연히 기대되는 기능이긴 한데.. | |
11:08 lexifdev: 사이트에서 앱 설치를 열심히 독려해야... | |
11:08 aronze: 엡에 Area51 관련 카테고리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없을 가능성이 클거 같아요. 지금 보니 있어도 찾기가 힘든거 같아요. | |
11:09 lqez: 저는 설치해둬서 지금 찾아봤는데 | |
11:09 lqez: area51는 없네요. | |
11:09 aronze: 오늘 이렇게 모여서 이야기 하는 것도 사실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요. @lqez 저도 지금 찾아봤는데 없는거 같네요 | |
11:10 aronze: 사실 이렇게 이야기 하고 싶어도 이야기 할 사람을 찾거나 모이는게 거의 불가능할 만큼 중요한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
11:10 lqez: ohyecloudy님이 위에서 말씀하신 "신기하게도 한국어 so 생겼으면 하는 분들이 사실 그냥 so 에서도 충분히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실 수 있는 분들이에요." | |
11:10 lqez: 이게 가장 아이러니한 부분이네요. | |
11:11 lqez: 그렇다보니 자발적인 참여나 적극성을 가지가가 어려워 보입니다. | |
11:11 lqez: 저도 영어를 잘하는건 전혀 아닌데, 원하는 정보가 한국어로 있을 확률보다 영어로 있을 확률이 훨씬 높으니까요. | |
11:11 lqez: 변명처럼 생각하는게 일본/일본어의 경우인데, | |
11:12 aronze: @lqez 님 말씀처럼 오늘 모이신 분들 중에 참여를 원하시는 분들에 한하여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떠신가요? 홍보/가이드를 만드는 등의 행위를 함께 하는거죠. 오늘 대화로 끝내면 뭔가 추진력있게 진행은 여전히 힘들지 않을거 같아요. | |
11:12 lqez: stackoverflow in japanese 도 있나요? | |
11:12 aronze: 그거 잘 모르겠어요. 당연히 있을 거 같은데 없을 수도 있어요. 의외로 일본이 이런거 무지 약해서 | |
11:13 aronze: 지금 베타 끝나고 정식 서비스 중인데는 포르투칼밖에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
11:13 lexifdev: ! | |
11:13 lqez: 하... | |
11:13 lexifdev: 의외의 나라군요.. | |
11:14 lqez: aronze: 그룹을 만든다면 어디가 좋을까요? | |
11:14 lqez: 저는 페이스북 그룹이 기능적으로는 매우 나쁘다고 생각하는데 | |
11:14 lqez: 한국어SO가 생겼을 경우 목표로 삼고 있는 개발자들이 많다고는 봅니다 | |
11:14 lqez: 애초에 github이나 g+ 로 하면 그조차도 안되는 기분... | |
11:15 lexifdev: 소셜 그래프로만 따지면 페북이 제일 낫다고 봅니다.. | |
11:16 aronze: 그룹 만드는 것도 문제군요 하아. -_-; 그룹 가입하라고 새로 사이트 만드는 것도 좀 그렇고.. 갈데 없어 페북인건가.. | |
11:16 lqez: aronze: 주변에 python 그룹이라던가 몇몇 언어/프레임워크 그룹들이 | |
11:16 lqez: 페북에 한 번 빠져서는 탈출이 안되는 상황입니다 (ㅠㅠ) | |
11:17 aronze: 헐 | |
11:19 aronze: Slack 은 어떤가요? IRC 의 연장선으로 사용하면 편할 거 같은데. 혹은 Area51 제안 페이지를 그냥 쓰는 방법도 있겠네요. 제안 글에 덧글 달 수 있거든요. 다른 제안 보니 여기에 여러가지 의견이 달리는 것 같더라고요 | |
11:24 lqez: aronze: 새로운 사용자를 끌어들이기에는 fb group이 괜찮고 | |
11:24 lqez: 일을 진행하는데는 slack 이나 irc 등이 괜찮을 것 같습니다 | |
11:25 aronze: lqez 님 의견은 어떠신가요? | |
11:26 aronze: slack 을 기본 커뮤니티 창구로 이용하고 fb 은 홍보용으로 하나 만들어서 참여를 이끌어내는 용도로 사용하는건 어떤가요? | |
11:26 lexifdev: 진행위라면 slack이나 irc가 좋아보이고.. | |
11:26 lqez: aronze: 저는 (1) 문서 보관으로는 github 을 쓰고, (2) 홍보용으로 fb 그룹/페이지를 쓰고 싶습니다. | |
11:26 lexifdev: 사용자 그룹이라면... 아 이쪽은 필요 없나.. | |
11:26 lqez: slack 은 슬랙 클라이언트가 멀티 도메인 로그인이 안되서 ㅠㅠ | |
11:27 lqez: 개인적으로는 회사가 slack 을 쓰고 있는 관계로 웹 클라이언트를 써야 해서 | |
11:27 lqez: 약간 불편해서 IRC를 선호하게 되는데 | |
11:27 aronze: 넹, 지금 그룹 slack 에 만들었는데 멀티 안대네요 -_-; | |
11:27 lqez: IRC 가 불편한 분들도 있을테니 ㅠㅠ | |
11:27 aronze: 스위치 해야 되네.. | |
11:27 lqez: 네 그게 좀 불편합니다;; | |
11:28 토성구름: slack 써도 | |
11:28 토성구름: IRC 열어두면 | |
11:28 토성구름: IRC 쓰는 사람들은 큰 무리 없이 쓸 수 있지 않을까요? | |
11:28 lqez: 토성구름 : IRC integration 이 되던가요? | |
11:28 토성구름: 옙 | |
11:28 lqez: 그럼 그것도 괜찮겠네요. | |
11:28 aronze: 헐 | |
11:29 aronze: 어케하는거에요-_-? | |
11:29 lqez: 그런 정보를 모아두는 용도로 github 그룹을 추천합니다- | |
11:29 토성구름: 그냥 설정에 가 보면 | |
11:29 lqez: 홈페이지도 github.io 로 할 수 있고요. | |
11:29 토성구름: Integration 에서 IRC 켤 수 있던가 | |
11:29 토성구름: 그럴거예요 | |
11:29 aronze: 아네, 감사해용~ | |
11:29 토성구름: 기본 설정은 SSL 연결밖에 안 되는 건데 이것도 끌 수 있고요 | |
11:29 lqez: aronze: 저는 aronze님이 soink(가칭) 장을 맡아주셨으면 하는데요, | |
11:30 lqez: 이름이 soink 는 좀 별로 인것 같고 하나 지어주시면 흐흐. | |
11:30 lqez: 원래는 대세를 따라 k-so 로 하고 싶었으나 (...) | |
11:30 aronze: SOK 어때요-_- | |
11:30 aronze: SO in Korea | |
11:30 lqez: 솤... | |
11:30 aronze: 아이돌 그룹같고 좋죠-_- | |
11:30 lqez: 덴마크가 아니라서 다행이네요(...!) | |
11:31 aronze: 'ㅁ' | |
11:31 lqez: https://img.tl/0fPm.png | |
11:31 lqez: 으읔 | |
11:32 lqez: 이건 뭐 도메인 선점도 아니고 ㅎㅎ | |
11:32 lqez: koreanso, sokorea, soink 등은 다 되네요 | |
11:32 lqez: k-so 도 됩니다 | |
11:32 aronze: 그럼 이렇게 하죠. Slack 에 제가 SOK 라고 그룹을 만들겠습니다. 여기에서 논의해서 Fackbook 과 다른 접근 경로를 논의해보죠. 장은 다른 분들 괜찮으시면 제가 맡도록 하겠습니다. 어차피 제안이 본괘도에 오르면 자연스럽게 공동 관리 체제로 들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
11:32 lqez: 넵 | |
11:33 lqez: 명확한 so-in-korean 도 비어있네요(당연하지만) | |
11:34 aronze: slack 에 SOK 그룹을 만들었습니다. | |
11:35 lqez: aronze: [email protected] 초대 부탁드립니다 (_ _) | |
11:36 aronze: 초대 갔나요? | |
11:36 aronze: 여기 공개 그룹이라 그냥 들어오실 수도 있을 거 같아요-_-; | |
11:36 lqez: 감사합니다 | |
11:37 aronze: 이 곳에서, facebook 및 다양한 매체/그룹과 접촉/홍보할 방법과 SOK 를 만들려는 이유와 제안 단계에 대한 설명 등을 문서화 하도록 하겠습니다. 준비가 완료된 후 SOK 리오픈 하고요~ |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