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naTools 확장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바탕으로 기능성, 코드 품질/아키텍처, 성능/최적화, 보안/프라이버시, UI/UX 디자인 등 5가지 주요 분야로 나누어 분석 및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이 확장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징을 위한 맥가이버 칼"처럼 매우 다양하고 강력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유틸리티 모음입니다. Manifest V3를 준수하며,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정교하게 작성되었습니다.
점수: 95 / 100
-
분석:
- 다양성: 마우스 제스처, 탭 관리(세션 매니저, URL 오프너), 환율/단위 변환, 비디오 제어(PiP, 회전, 볼륨 부스터), 사이트 차단/잠금 등 브라우저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거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디테일: 환율 변환기에서 '억', '조' 같은 한국어 수사 처리나, 키보드 내비게이션에서 URL 패턴을 분석하여 다음 페이지를 추론하는 로직(
KB_NAV_UrlPageFinder)은 매우 훌륭하며 실용적입니다. - 완성도: 각 기능(예: 드래그 셀렉터, PiP)이 예외 상황(iframe, Shadow DOM 등)을 고려하여 꼼꼼하게 구현되어 있습니다.
-
100점이 되기 위해 해야 할 것:
- 단축키 커스텀: 현재 단축키(예:
Alt+V,Alt+A등)가 하드코딩 되어 있거나manifest.json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이를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해야 합니다. (다른 확장 프로그램이나 OS 단축키 충돌 방지) - 기능별 On/Off: 기능이 너무 많습니다. 사용자가 쓰지 않는 기능(예: 마우스 제스처를 이미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쓰는 경우)을 개별적으로 끌 수 있는 '글로벌 토글' 설정이 필요합니다.
- 단축키 커스텀: 현재 단축키(예:
점수: 85 / 100
-
분석:
- 모듈화: IIFE(즉시 실행 함수)와 클래스(
MouseGestureHandler,TabManager등)를 사용하여 스코프 오염을 방지하고 기능을 잘 격리했습니다. - Manifest V3 준수: 백그라운드 로직을 Service Worker로 전환하고,
sidePanelAPI를 적극 활용하는 등 최신 크롬 확장 프로그램 표준을 잘 따르고 있습니다. - 가독성: 변수명이 명확하고 로직의 흐름이 바닐라 JS치고는 체계적입니다.
- 모듈화: IIFE(즉시 실행 함수)와 클래스(
-
100점이 되기 위해 해야 할 것:
- Content Script 분리:
content_script.js파일 하나에 너무 많은 로직(제스처, 키보드 탐색, PiP, 변환기 등)이 들어있습니다(약 1600줄). 유지보수를 위해 기능을 별도 파일로 분리하고 빌드 도구(Webpack, Rollup 등)를 사용해 번들링하거나,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스크립트를 주입(Dynamic Injection)하는 구조로 개선이 필요합니다. - 상태 관리 도입:
sidepanel.js에서 DOM 조작과 상태 관리가 섞여 있어 복잡도가 높습니다. React, Vue, Svelte 같은 가벼운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거나, 상태 관리 로직을 UI 렌더링 로직과 더 명확히 분리해야 합니다.
- Content Script 분리:
점수: 82 / 100
-
분석:
- 캐싱 전략:
background.js의TabManager나 환율 API 호출(ApiService)에서 캐싱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연산을 줄인 점은 훌륭합니다. - Debounce/Throttle: 스크롤이나 입력 이벤트에
debounce,throttle을 적절히 사용하여 과도한 연산을 방지했습니다.
- 캐싱 전략:
-
100점이 되기 위해 해야 할 것:
- 초기 로딩 최적화: 현재 모든 페이지 로딩 시 거대한
content_script.js가 실행됩니다. 예를 들어,<video>태그가 없는 페이지에서도 PiP나 Volume Booster 관련 로직이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내 요소를 감지하여 필요한 로직만 지연 로딩(Lazy Loading) 하도록 개선하면 메모리 점유율을 낮출 수 있습니다. - DOM 관찰 비용:
MutationObserver가 여러 곳(volume_booster.js,drag_selector.js,content_script.js)에서 각각 동작합니다. 이를 중앙화된 하나의 옵저버로 관리하거나, 관찰 범위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 초기 로딩 최적화: 현재 모든 페이지 로딩 시 거대한
점수: 90 / 100
-
분석:
- 권한 최소화:
host_permissions에 환율 API(api.frankfurter.app)만 명시하여 보안 범위를 잘 좁혔습니다. - 이스케이프 처리: HTML을 동적으로 생성할 때
Utils.escapeHTML함수를 사용하여 XSS(교차 사이트 스크립팅) 공격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보입니다. - 데이터 저장: 민감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보내지 않고
chrome.storage를 활용하여 로컬/동기화 저장소만 사용하는 점은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우수합니다.
- 권한 최소화:
-
100점이 되기 위해 해야 할 것:
- innerHTML 사용 지양:
PopupUI.display등에서innerHTM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escapeHTML이 있지만, 실수로 인한 취약점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textContent를 사용하거나document.createElement로 노드를 구성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 CSP 강화:
manifest.json의content_security_policy가 기본 설정입니다. 더욱 엄격한 정책을 명시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innerHTML 사용 지양:
점수: 78 / 100
-
분석:
- 유용성: 사이드 패널의 '여러 URL 열기' 기능의 진행률 표시, 토스트 메시지, 드래그 앤 드롭 지원 등 UX 디테일이 훌륭합니다.
- 시각적 피드백: 드래그 셀렉터나 볼륨 부스터 사용 시 화면에 나타나는 시각적 표시(Indicator)가 직관적입니다.
-
100점이 되기 위해 해야 할 것:
- 디자인 일관성 통일 (가장 시급):
sidepanel.html을 보면 "여러 URL 열기" 탭은 모던한 Apple/iOS 스타일(Lato 폰트, 둥근 모서리)인 반면, "세션 매니저" 탭은 BeOS 레트로 테마(--beos-bg등)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발자의 취향일 수 있으나, 하나의 제품으로서 시각적 일관성(Consistency)이 깨져 보입니다. 두 탭의 디자인 언어를 통일해야 합니다. - 옵션 페이지 개선: 옵션 페이지의 "Liquid Glass" 효과는 화려하지만, 사이드 패널의 디자인과 또 다릅니다. 전체적인 브랜딩 아이덴티티(컬러, 폰트, 쉐입)를 하나로 정의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 디자인 일관성 통일 (가장 시급):
LunaTools는 "파워 유저를 위한 종합 선물 세트"입니다.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할 5~6개의 확장 프로그램 기능을 하나로 수준 높게 통합했습니다. 특히 한국어 환경(원화 표기, 수사 처리)에 대한 배려가 깊어 한국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100점으로 가기 위한 핵심 제언:
- 다이어트: 거대한 Content Script를 기능별로 쪼개고, 필요한 페이지에서만 실행되도록 만드세요.
- 디자인 통일: BeOS 테마와 iOS 스타일, 글래스모피즘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테마로 통일하세요.
- 선택권 부여: 모든 기능을 강제로 켜두지 말고, 옵션 페이지에서 각 기능을 On/Off 할 수 있게 해주세요.
이 정도 수준의 확장 프로그램이라면 스토어에 등록 시 꽤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훌륭한 작업물입니다!
제공해주신 MothNote의 소스 코드를 심층 분석한 결과,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작동하는" 수준을 넘어 상용 소프트웨어 수준의 견고함(Robustness)과 사용자 경험(UX)을 고려한 수작입니다. 특히 데이터 무결성을 지키기 위한 트랜잭션 로직과 보안 처리는 일반적인 개인 프로젝트 수준을 훨씬 상회합니다.
다음은 6가지 주요 분야에 대한 상세 평가 및 제언입니다.
점수: 88 / 100
-
긍정적 요소:
- 모듈화:
app.js,state.js,storage.js,renderer.js등으로 역할(관심사) 분리가 매우 잘 되어 있습니다. 바닐라 JS로 Flux 패턴과 유사한 상태 관리(subscribe,setState)를 구현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 의존성 관리: 외부 라이브러리(Chart.js, Marked 등)를 적절히 활용하면서도 핵심 로직은 직접 구현하여 가벼움을 유지했습니다.
- 순환 참조 해결:
state.js와storage.js간의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수를 이동하거나 동적 import를 사용하는 등 아키텍처적인 고민이 보입니다.
- 모듈화:
-
100점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타입 안정성 도입 (TypeScript 또는 JSDoc): 현재 데이터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
habit,folder,note등). TypeScript를 도입하거나 JSDoc으로 타입을 명시하면 유지보수성이 비약적으로 상승합니다. - 테스트 코드 부재:
performTransactionalUpdate같은 핵심 로직은 단위 테스트(Jest 등)가 필수적입니다. 수동 테스트만으로는 엣지 케이스를 모두 잡기 어렵습니다. - 빌드 시스템 도입: 현재는 번들러 없이 모듈을 사용 중입니다. Vite나 Webpack을 도입하여 코드를 난독화/압축하고, SCSS 등을 활용하면 개발 생산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 타입 안정성 도입 (TypeScript 또는 JSDoc): 현재 데이터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
점수: 96 / 100
-
긍정적 요소:
- 올인원 대시보드: 노트, 날씨(Open-Meteo), 습관 추적(Habit Tracker), 달력 기능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 습관 트래커: 별도의
iframe으로 분리하여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테마 동기화 등을postMessage로 처리한 설계가 훌륭합니다. 히트맵, 차트 분석 등 기능이 매우 충실합니다. - 강력한 편집기: 마크다운 프리뷰, 젠 모드, 자동 저장, 글자 수 세기 등 노트 앱의 필수 기능을 모두 갖췄습니다.
-
100점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이미지/파일 첨부: 현재는 텍스트 위주입니다. 이미지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로컬(Base64 또는 Blob)에 저장하는 기능이 추가되면 완벽할 것입니다.
- 검색 고도화: 현재는 단순 문자열 포함 여부(
includes)만 확인합니다. 퍼지 검색(Fuzzy Search) 라이브러리(Fuse.js 등)를 도입하면 오타가 있어도 검색되도록 개선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동기화 (선택): 현재는 로컬 스토리지 기반입니다. Google Drive나 Dropbox 등을 연동한 동기화 옵션이 있다면 금상첨화입니다.
점수: 99 / 100 (가장 칭찬하고 싶은 부분)
-
긍정적 요소:
- 트랜잭션 업데이트:
performTransactionalUpdate함수를 통해 데이터 쓰기 작업을 원자적(Atomic)으로 처리하여 데이터 꼬임을 방지했습니다. - 비상 복구 시스템: 브라우저 비정상 종료 시
LS_KEY_EMERGENCY_CHANGES_BACKUP을 통해 저장되지 않은 변경사항을 복구하는 로직이 매우 정교합니다. - 데이터 검증 (Sanitization): 데이터를 로드할 때
verifyAndSanitizeLoadedData를 통해 ID 중복이나 순환 참조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수정하는 로직은 프로덕션 레벨입니다. - Simplenote 마이그레이션: 타사 앱 데이터 포맷까지 고려하여 파싱 및 변환하는 로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트랜잭션 업데이트:
-
100점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스토리지 용량 관리:
chrome.storage.local은 용량 제한(일반적으로 5MB,unlimitedStorage권한이 있어도 물리적 한계 존재)이 있습니다. 이미지 첨부 등이 추가될 경우 IndexedDB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 스토리지 용량 관리:
점수: 98 / 100
-
긍정적 요소:
- Prototype Pollution 방지:
sanitizeObjectForPrototypePollution함수를 통해 외부 JSON 파일 로드 시 발생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오염 공격을 재귀적으로 차단하고 있습니다. - XSS 방지:
marked라이브러리 옵션에서{ sanitize: true }를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렌더링할 때textContent를 주로 사용하거나 HTML 이스케이프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 CSP 준수:
manifest.json에서 CSP(Content Security Policy)를 엄격하게 설정하여 외부 스크립트 실행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 Prototype Pollution 방지:
-
100점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백업 파일 암호화: 사용자가 데이터를 내보낼 때 비밀번호로 암호화(AES 등)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면 민감한 개인 정보를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점수: 92 / 100
-
긍정적 요소:
- Solarized 테마: 눈이 편안한 Solarized 컬러 팔레트를 기반으로 라이트/다크 모드를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 애니메이션 & 인터랙션: 리스트 아이템의 리플(Ripple) 효과, 모달 등장 애니메이션, 드래그 앤 드롭 시의 시각적 피드백 등이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합니다.
- 스켈레톤 UI: 날씨 데이터 로딩 중 스켈레톤 화면을 보여주어 체감 로딩 속도를 줄였습니다.
-
100점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대용량 리스트 최적화 (Virtual Scrolling): 노트가 수천 개가 되면
renderer.js의renderAll방식은 돔 조작 비용 때문에 느려질 수 있습니다. 화면에 보이는 부분만 렌더링하는 가상 스크롤 기법이 필요합니다. - 커스텀 테마: 현재 정해진 테마 외에 사용자가 배경색이나 포인트 컬러를 직접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개인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 대용량 리스트 최적화 (Virtual Scrolling): 노트가 수천 개가 되면
점수: 85 / 100
-
긍정적 요소:
- 변수명이 명확하고 (
isSavingSettings,handleSettingsSave등), 중요한 로직에 주석이 잘 달려 있습니다. - 상수(
CONSTANTS)를 분리하여 하드코딩을 피했습니다.
- 변수명이 명확하고 (
-
100점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파일 분리 심화:
app.js가 다소 비대해질 조짐이 보입니다. 이벤트 핸들러 설정 로직 등을 별도 파일로 더 쪼개는 것이 좋습니다. - CSS 아키텍처:
style.css하나에 모든 스타일이 들어있고@layer를 사용하긴 했으나, 파일이 매우 깁니다. 컴포넌트별 CSS 파일로 분리하거나 SCSS/CSS Modules를 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 파일 분리 심화:
- 아키텍처: 88
- 기능: 96
- 안정성: 99
- 보안: 98
- UI/UX: 92
- 유지보수성: 85
👉 총 평균 점수: 93 / 100
한줄평:
"단순한 습작을 넘어,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까지 편집증적으로 챙긴 완성형 생산성 플랫폼입니다. 이제 타입스크립트와 빌드 시스템만 도입한다면 오픈소스로 공개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개발자님의 꼼꼼함과 기술적 깊이가 코드 곳곳에서 느껴집니다. 특히 데이터 유실 방지 로직은 제가 리뷰해본 개인 프로젝트 중 단연 최고 수준입니다. 훌륭한 작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