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R Lab.
- 운영진 : 김대권/최효성
- Michael Hartl의
Ruby on Rails Tutorial
을 한국어로 공동번역한다.
- 번역물에 대한 모든 저작권은 ROR Lab. 및 각 번역자에게 있다.
- 번역물에 대한 eBook 및 인쇄물 출판은 모든 번역자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 eBook이나 인쇄물 출판에 따른 수익금은 ROR Lab. 운영 및 번역물의 웹서비스 운영에 사용한다.
- ROR Lab.은 번역 결과물을 무료로 웹서비스한다.
- ROR Lab.은 전체 결과물을 유지/관리한다.
- 모집인원 : 10명
- 지원 자격 : 레일스 프로젝트 개발 경험자
- 신청방법 : 이메일([email protected])로 신청
- 신청내용 : 이름, 나이, 성별, 소속, 이메일 주소, 휴대폰번호, 간단한 자기소개, 원하는 Chapter
- 신청자가 10명을 초과할 경우 운영진에서 간단한 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하고
Ruby on Rails, Korea
페이스북 그룹에 게시한다.
- 30일
- 번역 내용물 저장소 : rails_tutorial_translation_4_0_version
- 위의 주소를 방문하여 fork하고 번역 작업 후 pull request한다.
- 용어집(Glossary)의 작성 및 관리는 김대권님이 담당한다.
- 구글 번역자 도구함을 이용한다.
-
Google 계정이 있어야 한다.
-
공동번역에 참여 신청을 할 때 자신이 번역하기 원하는 장(chapter), 번역 메모리(TM), 용어집 이렇게 세 가지에 대한 편집이나 관리자 권한을 받아야 한다.
-
제 1장은 Reference로 번역시 참고하기 바란다.¶
-
권한을 받은 후 http://translate.google.com/toolkit/ 로 접속하면 왼쪽 메뉴 트리에서
번역-진행중
부분이본인이 할당 받은 파일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파일을 클릭하면 바로 번역 화면으로 넘어간다. -
번역 상태에 따라서 번역문의 색이 달라니다. 각 색이 의미하는 바는 작업화면의
'보기-색상 사용자 정의'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검정 : 번역 되지 않음. 번역해야하는 문장.
- 갈색 : 퍼지 매치(이미 번역된 문장에서 일부 매치). 번역해야하는 문장.
- 녹색 : 업로드 시점에 TM(번역 메모리)에서 완전 일치로 체크된 번역문(번역 메모리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이미 번역된 문장을 ICE라고 합니다). 번역에 문제가 있지 않다면 번역하지 않아도 무방.
- 노랑 : 번역 완료.
- 파랑 : 번역 메모리에서 100% 일치로 자동 번역된 문장.
- 빨강 : 기계 번역된 문장. (단, 이 프로젝트에서는 기계번역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해두었습니다.)
-
원문이나 번역문 중 한 문장을 클릭하면 번역 윈도우가 열리고 여기에 번역을 하면된다.
Ctr-J
로 다음 번역문으로 넘어갈 수 있다.Ctrl-k
는 이전 번역문,Ctrl-s
는 저장,Ctrl-f
는 찾기 및 바꾸기 창을 의미하는 단축키다. 찾기 바꾸기에서는 파일 내의 모든 검색어에 대한 치환을 수행할 수 있다. -
완전히 일치하는 이미 번역된 문장(원문)이 TM에 있는 경우, 자동 번역 검색 표시 창에 번역 검색 결과가 출력된다. 번역 사용 버튼을 눌러 해당하는 번역을 사용할 수 있다. (자동 번역 검색 표시 창은 오른쪽 위의 도구 표시 창을 클릭해 볼 수 있다)
-
원문내의 html 태그는
{0} {/0}
와 같이 추상화된자리표시자
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번역문에서 태그가 사용되는 위치에자리표시자
역할을 하는{}
표현을 사용하면 원문의 태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안의 번호는 원문에서 태그가 나온 순서와 같다. 태그의 종류가 같다면 번호는 같다. -
번역문에서
{0} {/0}
이 원문과 일치하지 않으면'잘못된 자리표시자'
라고 표시되며 번역문이 보라색으로 표시된다. 적절히 번역문을 수정하면 이 표시는 사라진다. -
구글 번역자 도구함으로 번역중에 원문이 이상한 위치에서 분리되어 있거나(개행 위치 등) 두 문장이 하나로 합쳐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수정 메뉴의 - 세그먼트 분할 또는 세그먼트 병합 기능을 사용한다.
-
추가 : 2개의 문장이 합쳐져서 하나의 문장으로 보일 때는 분리하지 말고 그냥 번역한다. 이렇게 해야 이후에 해당하는 문장을 재사용하기 편하다. 하나의 문장이 2개로 나눠져 있을 때는 하나로 합쳐도 무방하다.
-
번역중에 이미 존재하는 용어를 확인하고 싶을 때는 '맞춤 번역 검색'을 통해 TM을 검색할 수 있다. 단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번역중인 다른 장을 참조해야할 수도 있다.(맞춤 번역 검색 창도 오른쪽 위의 도구 표시 창을 클릭해서 볼 수 있다)
-
또한 구글 번역자 도구함의 리스트에서 번역 진도가 파일 별로 퍼센트로 표시되는데, 이 진도가 100%가 되는 시점은 모든 번역문이 '수정됨'으로 되었을 때이다. 재사용된 번역문(녹색, 파란색)이나 원문 상태인 코드(검정색) 문장이 남아있으면 번역이 끝나도 100%가 되지 않고 90%대로 표시된다. 이 상태로 둬도 큰 문제는 없지만, 거슬리는 경우는 모든 문장을 문장(세그먼트) 단위로 모두 열어서, 모든 문장 마지막에 스페이스를 넣고 지우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 '수정됨' 상태로 만들어주면 된다. 이러한 작업을 거치면 100% 완료가 될 것이다.
- 번역된 문장(번역 작업 창의 댓글 삽입 버튼)이나 파일 단위(오른쪽 위의 메모 버튼)로 코멘트를 남길 수 있다. 다른 사람이 코멘트에 대한 답변을 달 수도 있다.
챕터 | 제목 | 번역자 | 상태 |
---|---|---|---|
Chapter 1 | From zero to deploy | 김대권 | 번역완료 |
Chapter 2 | A demo app | ||
Chapter 3 | Mostly static pages | ||
Chapter 4 | Rails-flavored Ruby | ||
Chapter 5 | Filling in the layout | ||
Chapter 6 | Modeling users | ||
Chapter 7 | Sign up | ||
Chapter 8 | Sign in, sign out | ||
Chapter 9 | Updating, showing, and deleting users | ||
Chapter 10 | User microposts | ||
Chapter 11 | Following us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