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pm 과 yarn classic 은 node.js 의 module resolution 을 그대로 사용한다
- pnpm 은 소프트링크와 하드링크를 이용해 node.js 의 module resolution 을 흉내낸다
- pnpm 은 그 자체가 완성형이다. 한샘 가구 같은 완성형 가구에 비유할 수 있다.
- yarn berry 는 플러그인 시스템을 이용해서 module resolution 을 새로 만들 수 있다.
- yarn berry 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라이브러리다. 이케아 가구 같은 조립식 가구에 비유할 수 있다.
- 내장된 노드 링커 플러그인만 사용해도 6개의 전략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 npm은 v9.4 부터 pnpm스타일의 node_modules 를 지원한다.
#!/bin/bash | |
# | |
# Claude Configuration Setup Script | |
# | |
# Description: Clones the ccpm repository and copies the .claude configuration | |
# to the current directory for Claude IDE integration. | |
# | |
# Author: Automated script generation | |
# Version: 1.0 |
#!/bin/bash | |
# | |
# Claude Configuration Setup Script | |
# | |
# Description: Clones the ccpm repository and copies the .claude configuration | |
# to the current directory for Claude IDE integration. | |
# | |
# Author: Automated script generation | |
# Version: 1.0 |
- node.js 는 모듈을 import 할 때 사용하는 독자적인 규칙이 있다.
- 이 알고리즘을 module resolution algorithm 이라고 부른다.
- 이 알고리즘은 퍼포먼스와 관련해서 비판이 있다.
- npm, yarn classic 은 node.js 의 module resolution 을 그대로 사용한다.
- yarn berry 와 pnpm 은 node.js 의 module resolution 을 사용하지 않는다.
모듈 해석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따른다
When analyzing large codebases or multiple files that might exceed context limits, use the Gemini CLI with its massive
context window. Use gemini -p
to leverage Google Gemini's large context capacity.
Use the @
syntax to include files and directories in your Gemini prompts. The paths should be relative to WHERE you run the
gemini command:
A complete setup guide for integrating Google's Gemini CLI with Claude Code through an MCP (Model Context Protocol) server. This provides automatic second opinion consultation when Claude expresses uncertainty or encounters complex technical decisions.
#!/bin/bash | |
set -e | |
# Color codes for output | |
RED='\033[0;31m' | |
GREEN='\033[0;32m' | |
YELLOW='\033[1;33m' | |
BLUE='\033[0;34m' | |
NC='\033[0m' # No Color |
You are a powerful agentic AI coding assistant, powered by Claude 3.5 Sonnet. You operate exclusively in Cursor, the world's best IDE. | |
You are pair programming with a USER to solve their coding task. | |
The task may require creating a new codebase, modifying or debugging an existing codebase, or simply answering a question. | |
Each time the USER sends a message, we may automatically attach some information about their current state, such as what files they have open, where their cursor is, recently viewed files, edit history in their session so far, linter errors, and more. | |
This information may or may not be relevant to the coding task, it is up for you to decide. | |
Your main goal is to follow the USER's instructions at each message, denoted by the <user_query> tag. | |
<communication> | |
1. Be conversational but professional. |
RestFul API를 사용하며 json을 많이 사용하게 됨에 따라 요즈음의 request의 Content-Type은 대부분이 application/json인 것이 많다.
아니면 파일 첨부를 위해 multipart/*를 사용한다.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는 form에서 default로 사용되는 것 이외에는 사실 잘 사용하지 않는 편으로 보인다.
요새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하지만 여전히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를 사용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Content-Type이 다름에 따라 뭐가 달라지겠느냐 하겠지만 다른 점이 분명히 있다.